기타와 화성학: 변조와 조바꿈
-목 차-
- 변조(Modulation)과 조바꿈(Key Change)의 차이
- 변조의 종류와 활용법
- 조바꿈의 활용법
안녀하세요^^
마지막 휴일을 맞아 득템해서 기분 좋은 막귀곰 인사드립니다^^
날씨도 좋고 그래서 집정리중에 누구 줬거나 버린줄 알았던 작은 악기하나와,
예전에 쓰던 기타팔때 같이 딸려간줄 알았던 스트랩 3개를 발견해 아주아주 기분이 좋습니다^^
이전에 찍었던 영상들 보시면 스트랩 안매고 있어서 자세가 불안불안 했었는데요..
이제 좀 안정감있게 할수 있겠네요^^
오랜만에 돌아온 기타와 화성학 시간엔 변조와 조바꿈에 대해서 알아보고자 합니다^^
지난번 올렸던 대리코드를 알아야 변조와 조바꿈을 이해하기 편하실것 같아요^^
그럼 오늘도 Follow me!~
<경 고>
비전문가의 포스팅이니 확실하게 배우고 싶다 하시는 분은 근처 음악학원을 찾아가시길 추천드립니다.
독학으로 입문할 때, 계속 막히는 구간이 있으신 초보분들께
유용한 팁과 어려운 정보들을 쉽게 알려드리고자 함이지만 전문가가 보시기에 허술할 수 있습니다.
1. 변조(Modulation)과 조바꿈(Key Change)의 차이
변조와 조바꿈은 나무위키에선 같은 것으로 말해 주는데요.
그도 그럴것이 비슷한 원리이기 때문에 많은 분들이 같은 개념으로 생각하십니다^^
사실 비슷하긴 하지만 음악적으로 엄연히 구분 됩니다^^
그럼 이 둘의 개념과 차이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1. 변조(Modulation)
우선 변조부터 알아 보면요.
변조 : 곡의 진행중 일시적 혹은 지속적으로 조성을 변화시키는 기법
입니다^^
변조의 경우 다른 조성으로 갔다가 돌아올 수 있습니다.
그 이유는 다양한 코드 및 대리 코드를 사용해 점진적으로 상승하면서 부드럽게 전환되기 때문인데요^^
그렇기 때문에 변화 후에도 이질감 없이 기존 곡의 흐름 및 분위기를 그대로 유지 합니다^^
-2. 조바꿈(Key Change)
이제 조바꿈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조바꿈 : 곡의 특정 부분에서 갑작스럽게 조성을 변경하는 기법
인데요.
변조와의 차이점이 느껴지실까요?
조바꿈의 경우 드라마틱한 분위기를 연출하기 위해 자주 쓰이는데요.
그렇다 보니 갑작스럽게 조성을 바꾸게 됩니다.
중간에 쌓여진 코드나 대리코드가 없기 때문에 원래로 돌아오지 못하게 되다보니 클라이막스, 후렴부분 에서 많이 사용 됩니다^^
●둘의 차이를 쉽게 말하자면 변조는 자연스럽고 점진적으로 조성을 변화 시키고, 조바꿈은 갑작스럽게 조성을 바꾸어 버리는 기법입니다.
2. 변조의 종류와 활용법
코드의 화음을 사용해 점진적으로 조성을 변화시키는 변조의 경우 다양한 기법이 존재 합니다^^
어떤 기법이 있는지 한번 살펴 보겠습니다^^
우선 메이저의 코드진행 표를 올려 놓겠습니다^^
아래 설명중 햇갈리는 부분이 있으면 한번씩 봐주시면 됩니다^^
-1. 근접 조 변조(Diatonic Modulation)
기존 조성의 4도, 5도에 해당하는 근접 조성으로 변조하는 것을 근접 조 변조 라고 합니다^^
근본의 C Key를 예로 들어 보겠습니다^^
C Key의 4도(서브 도미넌트)는 FM7, 5도(도미넌트)는 G7입니다^^
만약 해당키로 변조 한다고 하면 FM7, GM7으로 바뀌게 되는데요.
3화음으로 잡을 경우 F와 G가 되어 주면서 C Key에도 잘 어울리며 분위기를 이어갈수 있습니다^^
-진행 예시-
ㅣ 기존 준비 변조 ㅣ
C Major -> F Major
l C - G - C - F l
C Major -> G Major
l C - G - D - G l
좀더 코드 진행을 보여드리고 싶지만...악상이 떠오르지 않아서.ㅠㅠ
오늘 예시 영상을 많이 올려야 하다 보니 짧게 짧게 가겠습니다ㅠㅠ
-2. 반음계적 변조(Chromatic Modulation)
음을 반음만 변조하게 되는 반음계적 변조 입니다^^
이 변조의 경우 준비 단계에 삽입되는 코드 자체가 굉장히 어중간해 지는데요.
그래서 준비 - 변조에 공통된 음 하나를 활용해 더욱 강한 색체를 강조합니다^^
공통된 음 하나, 강한 색체는? dim 코드다~
-진행 예시-
ㅣ 기존 준비 변조 ㅣ
C Major -> Db Major
l C - C#dim - Db l
디미니쉬 코드에 자신이 없다보니 소리가 움추러 드네요..^^
반음계적 변조는 다양한 방법으로 쓰이고 있습니다^^
이 부분은 나중에 다시 포스팅 하도록 하겠습니다^^
-3. 트라이톤 변조(Tritone Modulation)
이전 대리코드 포스팅에서 예시로 보여드렸던 트라이톤 변조입니다^^
7th 도미넌트 + 7th 도미넌트의 대리코드 사용으로 좀더 재즈한 느낌을 주는 변조인데요^^
기존 1도의 도미넌트 - 도미넌트 대리코드(변조 구성음 포함) - 변조 이런 방식을 취합니다^^
-진행 예시-
ㅣ 기존 준비1 준비2 변조 ㅣ
C Major -> Gb Major
l C - G7 - D7 - Gb l
재즈한 느낌을 살리진 못했지만.. 부드럽게 변조가 되어주지요??^^
-4. 병행 단조 변조(Parallel Minor Modulation)
자..이게 무슨 말이냐 하면요..^^
같은 으뜸음을 공유하는 Major와 minor 조성을 바꾸는 변조 기법 인데요.
급작스런 분위기 반전을 보여주는 기법 입니다^^
-진행 예시-
ㅣ 기존 변조 기존 기존ㅣ
C Major -> Cm Major
l C - Cm - G - C l
중간에 분위기가 완전히 달라지면서 더욱 독특한 느낌을 줍니다^^
3. 조바꿈 활용법
조바꿈은 극적인 효과를 위해 많이 사용됩니다^^
조바꿈 역시 어려가지 활용법이 있어서 그중 몇가지만 알아보겠습니다^^
-1. 반음 상승 조바꿈 (Half-Step Up Key Change)
말 그대로 반음을 올리는 조바꿈 입니다^^
발라드, 팝에서 감정을 끌어 올리는 역할로 많이 사용 됩니다^^
주로 후렴부분에서 사용하여 고조감을 극대화 시켜줍니다^^
-진행 예시-
ㅣ 기존 변조의 도미넌트 변조ㅣ
C Major -> Db Major
l C - Ab7 - Db l
약간 불안하면서도 고조되는 느낌이 듭니다^^
-2. 온음 상승 조바꿈 (Whole-Step Up Key Change)
역시 온음을 상승 시키는 조바꿈 입니다^^
반음 상승 조바꿈보다 더욱 긴장감을 높이는 방식입니다^^
반음 상승보다 고조되는 느낌을 더욱 극대화 하면서 클라이맥스를 강조시켜 줍니다^^
-진행 예시-
ㅣ 기존 변조의 도미넌트 변조ㅣ
C Major -> Db Major
l C - A7 - D l
더욱 고조되는 느낌이 강하게 듭니다^^
그렇죠??^^
-3. 서브도미넌트 조바꿈 (Subdominant Key Change)
기존 조성의 4도(서브도미넌트)로 조성을 바꾸는 서브도미넌트 조바꿈 입니다^^
기존 코드구성에서 바꾸게 되다 보니 감미롭고 부드러워 집니다^^
-진행 예시-
ㅣ 기존 변조 변조 진행 ㅣ
C Major -> Db Major
l C - F - Bb - C l
즉시 조바꿈이 이루어 졌지만, 기존 코드 구성에서 벗어나지 않았기 때문에 자연스럽고 부드럽게 흘러갑니다^^
변조는 아니지만 변조 같은 느낌??^^
기타와 화성학: 변조와 조바꿈
변조와 조바꿈 시간 어떠셨나요??
사실 위의 예시들은 예시일뿐, 반듯이 저렇게 해야 한다 라는 정답은 없습니다^^
바뀌는 타이밍, 앞에 선행되는 코드들이 곡의 분위기를 만들죠^^
변조와 조바꿈의 경우 싱어의 음역대에 영향을 크게 받기도 하고, 그 외에도 감정 고조점을 잘 잡아야 이상하게 들리지 않습니다^^
하지만 분명 음악의 분위기를 변화 시킬수 있는 강력한 기법임에는 틀림 없습니다^^
이제 여러분도 변조와 조바꿈의 차이를 아셨습니다!
오늘의 내용이 재밌으셨다면 공감, 계속 보고 싶으시다면 구독 부탁드립니다^^
오늘도 몇분에게는 도움이 되기를 바라며! 이만 글을 마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2025.01.25 - [기타와 화성학 시리즈] - 기타와 화성학 : 대리 코드
2025.01.15 - [기타와 화성학 시리즈] - 기타와 화성학: 다양한 코드진행
2025.01.10 - [기타와 화성학 시리즈] - 기타와 화성학: 코드의 역할과 의미 / 토닉, 서브도미넌트, 도미넌트
'기타와 화성학 시리즈' 카테고리의 다른 글
기타와 화성학 : 코드진행 심화 - 감정을 연주하는 법 (40) | 2025.02.04 |
---|---|
기타와 화성학 : 대리 코드 (65) | 2025.01.26 |
기타와 화성학 : 메이저 스케일의 모드(Mode) - 하편 (74) | 2025.01.23 |
기타와 화성학 : 메이저 스케일의 모드(Mode) - 상편 (78) | 2025.01.21 |
기타와 화성학 : 파워코드 이해하기 (55) | 2025.01.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