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보를 위한 유지관리 : 통기타 스트링 셀프교체
-목 차-
- 준비물
- 기존 스트링 제거
- 스트링 셋업
안녕하세요^^
오늘도 돌아온 초보 기타꾼 막귀곰 인사드립니다^^
![](https://t1.daumcdn.net/keditor/emoticon/friends1/large/003.gif)
통기타를 가지고 계실때 분명 줄을 갈아야하는 타이밍이 생기실텐데요.
오늘은 직접 스트링 교체방법에 대해서 알아보는 시간을 가져보겠습니다^^
어렵지 않아요~천천히 따라와 보시면 됩니다^^
그럼 오늘도 Follow me!~
1. 준비물
우선 준비물 부터 준비해야 겠죠??^^
어떤 준비물이 필요한지 알아보겠습니다^^
![기타 스트링 교체용 준비물](https://blog.kakaocdn.net/dn/2CUzy/btsMjDLpadP/jUaxUg55Devqw483cmqyhk/img.png)
◈ 준 비 물
- 몽키 스패너
- 니퍼
- 넥 받침대
- 기타 클리닝용 매트
- 패그 와인더
- 스트링 액션 게이지
엄청 많이 필요하진 않습니다^^
집에 하나씩 있는 몽키 스패너, 니퍼의 경우 꺼내서 준비해 주시면 됩니다^^
넥 받침대의 경우 있고 없고의 차이가 좀 많이 나긴 합니다.
없어도 줄가는데에는 아무런 문제가 없지만, 있으면 편하긴합니다^^
기타 클리닝용 매트 역시 없다고 큰 문제가 되진 않습니다^^
맨바닥에서 하실경우 기타 후판, 측판에 자잘한 스크레치가 생길수도 있지요^^
패그 와인더는 필수로 준비하시길 바랍니다.
제가 두가지의 패그 와인더를 꺼내놨는데요. 각각의 사용법 역시 알아보겠습니다^^
스트링 액션 게이지의 경우 알아두면 좋지만, 자신없으시면 없으셔도 됩니다^^
![스트링 액션 게이지](https://blog.kakaocdn.net/dn/bYPnlM/btsMi3wRbr0/HeEHvbAqMFLR1F713bZtL0/img.png)
이렇게 다양한 측정자가 표시되어 있습니다.
주로 사용하는 부분은 사진상 아래쪽의 게이지입니다^^
어떻게 사용하는지는 잠시뒤 보여드리겠습니다^^
2. 기존 스트링 제거
새 스트링을 끼려면 우선 기존의 낡은 스트링을 먼저 제거 해야겠죠??^^
![막귀곰의 불쌍한 기타](https://blog.kakaocdn.net/dn/laDJK/btsMksWq3vO/5fzEogDOUAIC2tA5abLk70/img.png)
저의 불쌍한 기타입니다.
먼저 기타줄을 느슨하게 풀어줄 필요가 있습니다^^
![막귀곰의 불쌍한 손](https://blog.kakaocdn.net/dn/bzVksJ/btsMiBnecXi/2l0jfFucOlzMMdwAYxKesK/img.png)
가까이서 보니 먼지도 잔득 쌓여있네요.
우선 스트링 먼저 느슨~하게 풀어줍시다^^
![막귀곰의 불쌍한 기타](https://blog.kakaocdn.net/dn/66a5N/btsMkybjWg1/lUNxezp904tAHKfUttA271/img.png)
스트링이 커브도는 모양까지 풀어주시면 됩니다^^
그래야 스트링을 끊었을때 튀지 않아요^^
![막귀곰의 불쌍한 기타 스트링 끊기](https://blog.kakaocdn.net/dn/YUebl/btsMjOFGx03/Pjx5ysHJKYUOOJ1SdNSyXK/img.png)
다 풀으셨으면 위 사진처럼 12프렛 정도에서 니퍼를 사용해 스트링을 끊어 주시면 됩니다.
12프렛에서 끊으면 양쪽 길이가 어느정도 맞아 묶어서 버리기 편합니다^^
![](https://blog.kakaocdn.net/dn/cPGAri/btsMkBFAo0q/aKwsDGh1Am0P9YlRKPNBP0/img.png)
줄이 전부 끊어진 지판의 민낯입니다.
그럼 이제 잘라진 스트링을 빼워야 겠죠??
헤드쪽은 그냥 돌려서 뺴시면 되지만, 브릿지는 브릿지 핀으로 고정되어 있습니다^^
![막귀곰의 패그 와인더](https://blog.kakaocdn.net/dn/bu9zaP/btsMka9y3Q3/whYLUscJJLBToqTM8QPQuK/img.jpg)
패그 와인더(메이커 별로 상이)에 보면 끝부분에 저런 동그란 홈이 있습니다^^
저걸 어따가 쓰는것이냐..
![막귀곰의 패그 와인더](https://blog.kakaocdn.net/dn/QzUQb/btsMkJji1fr/IHHTWKSibFvrq1mxJw8LTk/img.png)
이렇게 브릿지 핀 리무버로 사용이 가능합니다^^
하지만 여기서 주의 사항이 있습니다!
⊙주의 사항 : 브릿지 핀 탈거시 무리하게 꺾으면 브릿지 핀이 휘거나 부러질수 있습니다.⊙
만약 브릿지 핀이 휘기만 한다면 당장은 사용할수 있지만 부러진다면..새로 구매하실때까지 기타는 못치시는 겁니다..
하여 드리는 꿀팁!
![](https://blog.kakaocdn.net/dn/chP02o/btsMjGHY0Cp/WzOmaAKsf5fogpf3qbUdK1/img.png)
사운드홀에 왼손을 집어 넣어 손가락으로 브릿지 핀을 눌러주면 브릿지 핀에 데미지를 주지 않고도 쉽게 핀을 빼낼수 있습니다^^
6번줄 브릿지 핀 빼낼때 핀을 누른게 아니라 브레싱을 누르는 바람에 조금 당황했습니다..^^
왜 안빠지지??하고 계속 세게 눌렀는데 엄한곳 누르고 있었네요^^
저 같은 경우에 맨손으로 핀을 누르지만 손가락이 아프시다면 골무를 끼거나, 박스를 잘라 손에 덧대서 누르셔도 됩니다^^
![](https://blog.kakaocdn.net/dn/unRFa/btsMjMuDOiY/9q8kbuuOUW8Ezr3zKCpK41/img.png)
스트링 제거가 끝났다면 몽키를 가지고 헤드 줄감개의 6각 너트부분을 한번 조여줍시다^^
생각보다 저부분 조이는 것을 많이 놓치시는데요.
잘 조여 주셔야 튜닝이 튀거나 줄감개 혼자 돌아버리는 참사를 방지할수 있습니다^^
3. 스트링 셋업
줄감개 까지 조여주셨다면 이제 스트링을 설치해 주셔야 겠죠??^^
![불쌍한 막귀곰의 기타](https://blog.kakaocdn.net/dn/HrhS6/btsMk0kQw65/98zJVxMHK5rhLKAGfup3Wk/img.png)
우선 준비하신 스트링의 브릿지 삽입부분을 살짝 구부려 줍니다^^
필수 사항은 아니구요 저는 3~6번줄은 저렇게 구부려 줍니다^^
너무 많이 구부리면 데미지를 먹어버리니 많이 구부리지 않게 조심해주시면 됩니다^^
![막귀곰의 불쌍한 브릿지 핀](https://blog.kakaocdn.net/dn/cewO6c/btsMky3qPsC/FmSejUFSbiEEIjAhQrc25k/img.png)
브릿지 핀을 박아버리면 잘 안보일것 같아서 따로 사진을 찍었는데요.
브릿지 핀의 경우 아래 뿌리부분에 홈이 하나 있습니다.
그 부분에 스트링이 들어가줘야 단단하게 고정됩니다^^
![막귀곰의 불쌍한 손가락](https://blog.kakaocdn.net/dn/bnWkVp/btsMjU62JAL/3NqJAewUMLKk50Px8WK14K/img.png)
위 사진처럼 게이지에 맞는 홀에 브릿지 핀과 함께 꽂아 주시면 됩니다^^
![막귀곰의 불쌍한 손가락 2](https://blog.kakaocdn.net/dn/c4RT26/btsMiXXUlNw/6oRLGr56ZSZkMYIkORnPfK/img.png)
브릿지를 누른 상태에서 왼손으로 라인을 쭉쭉 땡겨주시면 됩니다^^
![](https://blog.kakaocdn.net/dn/bBtcoU/btsMjgpq0RY/sPi2KvUKXdbnkiiXQL9c4k/img.png)
브릿지에 설치 완료 사진입니다^^
저 같은 경우엔 브릿지 부분을 전부 설치해주고 헤드쪽으로 넘어갑니다^^
![](https://blog.kakaocdn.net/dn/vNvuM/btsMjQ4Cni6/kdwS211mk2xKrZjNrFg0vK/img.png)
6번줄을 당겨주며 끝부분을 얼마나 잘라야 하는지 확인해 봅니다^^
![막귀곰이 새단장 하는 기타](https://blog.kakaocdn.net/dn/sIWR9/btsMjfxgVwr/W970WrB487KZ8q2NaPlvt1/img.png)
스트링이 줄감개에 4바퀴 정도 감기면 되는데요.
6번줄의 경우 두껍고 굵기 때문에 5번줄 줄감개에서 조금 더 가서 잘라주면 됩니다^^
▣TIP : 6번줄을 제외하고 나머지 줄은 한칸 먼 줄감개만큼에서 잘라주시면 길이가 딱 맞습니다^^
![](https://blog.kakaocdn.net/dn/babjH0/btsMjIZ9ypC/51Dh2cUXWqnVIpiRGlNndk/img.jpg)
잘라진 스트링은 줄감개의 구멍에 꽂아 줍니다^^
![막귀곰의 충전드릴](https://blog.kakaocdn.net/dn/9sxQ7/btsMk2JKiCJ/qnwE1NPKNOoCP0dKhdZvGK/img.png)
여기서 이제 파란색 패그와인더가 등장하면 됩니다^^
누구나 집에 하나쯤은 있는 충전드릴에 드릴용 패그 와인더를 달아주면 작업 속도가 훨씬 빨라집니다^^
어때요? 빠르죠??
드릴용 패그와인더를 보시다 손 패그와인더를 보신다면 살짝 답답하실수 있습니다^^
저도 되도록이면 드릴용으로 사용합니다^^
![막귀곰의 새단장 중인 기타](https://blog.kakaocdn.net/dn/brw6UW/btsMjJq6WJY/00V156bcoXB9TRcdkSEexk/img.png)
위에서 팁으로 설명드렸던 부분입니다^^
5번줄이라서 4번줄 줄감개 위쪽에서 잘라주면 됩니다^^
그럼 신기하게 딱 맞아요^^
![막귀곰 새단장 완료](https://blog.kakaocdn.net/dn/IKzez/btsMiXcvI7j/1RrCDlW8RwteOQSEd6oh11/img.png)
중간에 기억이 날아간듯 하지만.. 어쨌든 줄갈이가 완료된 기타 입니다^^
헤드부분도 찍으려 했지만 얼핏 보이는 정리안된 모습이 공개되면 안될듯 하여 바디와 넥만 찍었습니다^^
![막귀곰 기타 스트링 게이지 측정](https://blog.kakaocdn.net/dn/bBhxfS/btsMkqYElO6/pUsxozDoCH4h7Q3ZjVkkU1/img.png)
여기서 스트링 게이지를 12프렛 위에 올려 스트링의 높이를 한번 체크를 해줍시다^^
사진에선 잘 안보이지만..게이지상 3.0 밑의 검은 기둥이 살짝 보입니다^^
그럼 2.75 게이지정도 된다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현 높이 : 2.4~2.75 사이 최적
제 기타는 아직 최적의 상태를 유지중이네요^^
다행입니다!^^
초보를 위한 유지관리 : 통기타 스트링 셀프교체
이렇게 통기타 스트링 교체 작업이 끝났습니다^^
사실 그냥 했을때 15분(클리닝 포함)이면 작업이 완전히 끝나는 데요.
사진 찍으면서 하려니 1시간 30분정도 걸렸네요..;
중간에 클리닝도 진행했지만 포스팅하면 내용이 산으로 갈것 같아서 나중에 다시 해보겠습니다^^
익숙해진다면 금방 할수 있으니 한번 도전해 보는것도 괜찮아 보입니다^^
이제 여러분은 통기타 스트링을 혼자 바꿀수 있습니다!!
오늘의 내용이 재밌으셨다면 공감, 계속 보고 싶으시다면 구독 부탁드립니다^^
오늘도 몇분에게는 도움이 되기를 바라며! 이만 글을 마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https://t1.daumcdn.net/keditor/emoticon/friends1/large/002.gif)
2025.02.14 - [막귀곰의 기어 리뷰/스트링 리뷰] - 스트링 리뷰 : Elixir - 나노웹 포스포 브론즈 어쿠스틱 라이트게이지(12-53)
스트링 리뷰 : Elixir - 나노웹 포스포 브론즈 어쿠스틱 라이트게이지(12-53)
스트링 리뷰 : Elixir - 나노웹 포스포 브론즈 어쿠스틱 라이트게이지(12-53)안녕하세요^^오늘도 기타치고 싶은 기타 초보꾼 막귀곰 인사드립니다^^오늘은 첫 리뷰 시간을 가져보고자 합니다^
makguibear-guitar.tistory.com
2025.01.12 - [통기타 이야기/초보를 위한 통기타 구매 가이드] - 초보를 위한 통기타 구매 가이드: 통기타 부품별 명칭
초보를 위한 통기타 구매 가이드: 통기타 부품별 명칭
초보를 위한 통기타 구매 가이드: 통기타 부품별 명칭-목 차-기타의 3부위헤드(Head)넥(Neck)바디(Body) 안녕하세요^^독학으로 기타치는 초보 기타꾼 막귀곰 인사드립니다^^오늘은 통기타의 부품별
makguibear-guitar.tistory.com